chaesunbak 님의 블로그
close
프로필 사진

chaesunbak 님의 블로그

github: @chaesunbak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1)
    • 회고 (10)
    • 트러블슈팅 (4)
    • 위키 (11)
    • 후기 (3)
    • 분석 (3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GitHub

클로저로 디바운싱과 스로틀링 구현하기

이벤트 그룹화여러 이벤트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경우, 이러한 이벤트에 바인딩한 이벤트 핸들러가 과도하게 호출될 경우 성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 디바운싱(Debouncing)과 스로틀링(Throttling)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룹화해서 과도한 이벤트 핸들러의 호출을 방지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.디바운싱디바운싱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가 연속해서 발생하면 이벤트 핸들러를 호출하지 않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벤트 핸들러가 한 번만 호출되도록 한다. 즉, 디바운싱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룹화해서 마지막에 한 번만 이벤트 핸들러가 호출되도록 한다. (예: 검색어 자동 완성)스로틀링스로틀링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가 연속해서 발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위키
  • · 2025. 10. 19.
콜백 함수, 익명 함수(람다), 클로저

콜백 함수, 익명 함수(람다), 클로저

콜백 함수(Callback Function)콜백 함수란 인수(argument)로 다른 함수에 전달되는 함수를 말한다. 일종의 루틴이나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외부 함수 내부에서 호출된다.콜백함수의 용도비동기 처리 : 어떤 작업이 완료되었었을 때 후속 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.const fs = require('node:fs');fs.readFile('/Users/joe/test.txt', 'utf8', (err, data) => { if (err) { console.error(err); return; } console.log(data);});이벤트 핸들러 :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함수를 등록할 때 사용된다.// HTML: 클릭하세요const myButton = document.ge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위키
  • · 2025. 7. 28.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navigate_next
Copyright © chaesunbak 모든 권리 보유.

티스토리툴바